주식 투자의 대가에게 배운다5 조엘 틸링해스트의 소형주 투자 철학 : 작지만 강한 기업을 찾아라 피델리티의 숨은 전설, 조엘 틸링해스트조엘 틸링해스트(Joel Tillinghast)는 미국의 대표적인 펀드 운용사 피델리티(Fidelity)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펀드매니저입니다. 그는 1989년부터 피델리티 로우 프라이스드 스톡 펀드(Fidelity Low-Priced Stock Fund)를 운용하며 30년 넘게 연평균 두 자릿수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시장의 거대한 변동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투자 철학으로 수많은 투자자들에게 귀감이 되었죠. 그의 강점은 대형주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시장의 주목을 덜 받는 ‘작은 기업’, 즉 소형주 투자에 있습니다. 대형 기업이 아닌 작지만 건전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회사를 찾아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그의 전략입니다. 그는 “작은 기업은 단기적으로는 불안하지만,.. 2025. 10. 12.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투자 철학 : 유동성을 읽는 자가 시장을 지배한다 스탠리 드러켄밀러, 거시경제를 읽는 천재스탠리 드러켄밀러(Stanley Druckenmiller)는 월가에서 가장 성공적인 매크로 투자자로 불립니다. 그는 조지 소로스와 함께 1992년 영국 파운드화 공매도를 성공시키며 단 하루 만에 1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거둔 일로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하지만 그의 진짜 가치는 한 번의 대박이 아니라 30년 동안 연평균 30%라는 놀라운 수익률을 유지한 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드러켄밀러는 단 한 해도 손실을 내지 않은 펀드매니저로 전설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후배 투자자들이 그의 투자 일지를 연구하며 전략을 따라 배우고 있습니다. 그는 기업의 재무제표보다 거시경제의 흐름, 즉 돈이 어디로 움직이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시장은 언제나 유동성에 .. 2025. 10. 11. 게이브 플래트킨의 교훈 : 게임스톱 사태가 남긴 투자 심리의 본질 월가의 천재 펀드매니저, 그리고 뜻밖의 실패게이브 플래트킨(Gabe Plotkin)은 한때 월가에서 가장 주목받는 젊은 펀드매니저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그는 스티브 코언의 SAC 캐피털에서 트레이더로 일하며 비상한 실적을 올렸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2014년 자신의 펀드인 멜빈 캐피털(Melvin Capital)을 설립했습니다. 그의 투자 철학은 명확했죠. 그는 감정에 흔들리지 않고 오직 데이터와 통계, 그리고 냉정한 분석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러한 철저한 시스템과 규율 덕분에 플래트킨은 단기간에 월가에서 주목 받으며 성공 가도를 달렸습니다. 그는 특히 기술주, 소비재, 금융 등 실적이 안정적이고 트렌드가 뚜렷한 분야를 중심으로 롱숏 전략을 구사했으며, 시장의 방향성이 아닌 ‘가격의 왜곡’을.. 2025. 10. 10. 주식 초보자를 위한 리처드 데니스의 거북이 투자 전략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에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에 대한 기준이겠지요. 수많은 투자 전략 속에서 무엇을 따라야 할지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이때, 리처드 데니스의 거북이 투자법은 명확하고 단순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 전략은 수십 년 전에도 성공을 입증했고, 현재에도 꾸준히 재조명되고 있어 초보 투자자들의 주목을 끕니다. 감정 개입을 배제한 시스템 매매, 추세를 따르는 간단한 규칙, 그리고 리스크 관리 중심의 구조는 초보자가 투자 시장에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거북이 투자법이란? 1983년, 전설적인 트레이더 리처드 데니스(Richard Dennis)는 '거북이 투자법(Turtle Trading System)'을 고안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투자 철학이 ‘타고나.. 2025. 10. 9. 빌 애크먼이 한국 주식 시장에 던지는 메시지 세계 금융시장에서 빌 애크먼(Bill Ackman)은 기업의 구조와 전략을 직접 바꿔가며 주주 가치를 끌어올리는 행동주의 투자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퍼싱스퀘어 캐피털 매니지먼트를 이끌며, 때로는 CEO 교체나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때로는 기업 전략 자체를 새롭게 짜도록 압박하며 시장을 흔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철학과 방식은 한국 주식 시장에도 의미가 있을까요? 한국의 기업 환경과 투자 문화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애크먼의 철학은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소중한 교훈을 줄 수 있습니다.빌 애크먼 철학의 핵심첫째, 집중 투자입니다. 그는 수십 종목에 자금을 널리 펼치지 않고, 확신이 있는 소수의 기업에 깊이 관여합니다. 이렇게 하면 분석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고, 해당 기.. 2025. 10. 5. 이전 1 다음